나의 놀이터

그 시절 뒷산 계곡에는 가재가 살았다. 지금은 모두 사라져 사진으로만 볼 수 있는 가재. 아빠는 바지를 걷어올리고 발을 물에 담그고, 바위들을 하나 둘 들썩 거린다. 그러면 가재들은 혼비백산하여 도망가기 바쁘고, 나는 차마 물릴까 잡아 볼 생각은 못하고 그저 신기한 눈으로만 그 광경 속에 풍덩 젖어 있었던 것이다.

지금은 깜짝 놀랄 일이지만 석면의 공포가 모두에게 각인되기 전까지는 슬레이트만큼 좋은 불판도 없었다. 어딘가 건축 자재 더미에서 주워온 슬레이트를 깨끗이 씻어 불위에 달군다. 슬레이트 표면의 굴곡을 이용해 볼록한 부분에 고기를 얹으면 자연히 돼지고기의 기름들은 오목한 부분을 따라 흘러내리고 고기는 바싹하게 익는다. 그때는 모두가 칭송하던 최고의 고기 불판이었다. 그렇게 계곡 한 구석에 둘러앉아 흥얼거리고 취했던 것이다.

아빠의 유일한 삶의 낙이었던 낚시는 가족 모두의 취미가 되어야 했다. 우리 가족의 여행이나 나들이 장소는 곧 낚시하기 좋은 곳을 의미했다. 붕어를 따라 장어를 따라 때로는 길도 없는 길을 뚫고 수풀 속으로, 때로는 산속 깊숙이 숨겨진 저수지를 찾아 사륜구동 차를 이끌고 들어갔다. 그곳 아무도 없는 곳, 정적과 이따금 물고기만이 뻐끔대는 곳에 텐트를 치고 낚싯대를 던져놓고는 밤을 지새우곤 했다. 그 시절 나에게는 저수지가 호수였고 농업용 수로가 개울물이었던 것이다.

태어나서 메뚜기 튀김을 본 것도 그것을 입에 넣어 본 것도 딱 한 번 있었다. 동네 친구네 집에 들렀다가 갈색의 메뚜기 사체들이 바싹하게 굳은 채 한 솥 가득 차 있는 것을 보고 그때도 이상하게 생각했었다. 그 집 앞, 곧 우리 집 앞이기도 한 그곳에는 몇 개의 이름 없는 무덤과 야트막한 산이 있었다. 그곳은 나와 그 친구들의 앞마당이자 운동장이었다. 그곳에서 메뚜기나 잠자리를 잡으며 뛰어다녔다. 어느 날엔가 비가 그치고 그곳 묘지 앞에 둘이 섰는데 무지개를 봤던 기억이 난다. 무지개를 보며 나와 친구는 요새 비는 산성비라서 맞으면 대머리가 되거나 집이 녹아내릴 수 있다고 심각하게 걱정을 하곤 했던 것이다.

이렇게 기억을 더듬어 내 마음에 자연이 심긴 이유를 훑어보지만 그 어린날 숲 속 글쓰기 대회에서 자연 파괴는 인간의 자살행위라고 글을 토해내던 나의 동기는 찾을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