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식물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계기는 스스로 죽을 위기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즉, 더 이상 가망이 없을때 새 생명으로 새로운 시도를 만든다
시대에 거슬러 대안적인 삶을 사는 많은 사람들이 대가 끊긴채 생을 마치는 것이 때론 안타깝게 다가온다. 그들은 사실 그들 자신으로 이미 완성되었으므로 새로운 세대가 필요 없었던 것일까.
그들은 그들의 업적을 통해 세상에 영향을 줌으로서 단순히 자식을 갖는 것보다 훨씬 많은 영향을 남긴 것은 아닐까. 훌륭한 부모 밑에 단지 피를 물려받은 망나니들이 얼마나 많은가.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인류의 역사에 남을만한 훌륭한 사람이지만 남들보다 눈에 띄었기에 홀로 생을 마감하는 많은 경우를 발견한다. 반면 이상적인 어떤 사상보다는 체제에 순응하고 잘 적응한 사람들은 별 탈없이 살고 별 탈없이 후손을 남긴다. 이러한 자연 선택이 옳았던 것인가.
혹시 우리 인간이 오래도록 번영하는 것이 사실은 우리의 목표가 아닌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