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신념

사실상 환경의 변화는 막을 수 없을것 같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얼까? 변화하는 세계에서 살아남는 것? 세상 모든 것이 사라진들 뭐가 슬픈 것일까? 침팬지가 다른 종들의 멸종을 지켜보며 슬퍼 할까. 가리왕산의 고목들이 그들의 터전을 스키장이 대신했을때 슬퍼했을까. 어차피 막을 수 있는게 없다면, 우리가 그저 지금 볼 수 있는 아름다움들을 보면서 흐름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기로 하면 어떨까?

이것이 불교의 가르침일까. 그 무엇에도 집작하지 말기. 기대하지 않고 실망하지도 않기. 하지만 그것은 또 무엇을 위한 비 집착인가. 비집착을 위한 집착은 옳은가?

사실 저마다 자신에게 맞는 신념의 옷을 입고 있을 뿐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스님은 스님대로, 속세의 사람들은 그들대로, 환경주의자들 역시 그들대로, 각자의 삶에 최선을 다하고 있고 흐름은 어차피 막을 수 없는 것이 아닐까. 또 생각해보면 막아야 할 흐름이란 무엇일까. 자연적인 것은 대체 무엇이고, 인간적인 것은 왜 자연적이지 못하나.

자연주의는 사실 자연주의가 아닐지 모른다. 그것은 현재 지구를 지배하는 인류세(Anthropocene)를 저지하고 과거의 시대를 유지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신념으로 볼 수도 있지 않을까. 인류세가 없다면 그자리에는 무엇이 올까. 수십억년간 변화해온 지질학의 시대들은 누가 변화시켜온 것인가.

모든 가치가 무너지고 모든 진실이 거짓이라 밝혀지는 이 시대에서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내가 지금 이 자리에 서 있다는 것, 아름다움을 바라볼 수 있고 고통에 공감 할 수 있다는 것. – 물론 이 역시 철학적으로 거짓이라 논증 할 수 있고 언젠가 정말로 거짓이었음이 밝혀진대도 이는 중요하지 않다. 지금 그 문제를 해결 할 수는 없으니까.

어차피 탈출구가 없다면 우리가 지금 가진 이 감각들에 의존해 살아가는 수밖에 없지 않을까.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할 뿐이다. 고매한 진리와 신념이 우리가 당면한 위기의 탈출구는 아니다.

어쩌면 이것이 가장 자연적인 것이다. 우리가 가진대로 살아내기. 우리가 느끼는 것에 집착하고 원하는 만큼 힘껏 살기.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