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릴레오에 리눅스를 올리자

알다시피 갈릴레오는 원래 리눅스 기반으로 돌아간다.

Yocto 프로젝트라고 불리는게 있는데 임베디드용 장치를 위한 리눅스이다. 아두이노는 그 위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갈릴레오는 인텔 x86기반의 쿼크 프로세서를 달고 있으니
이 보드를 산 사람이 과연 아두이노 용도로만 쓰려고 산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런 용도라면 Uno가 훨씬 싼데..)

사실 나는 처음에 갈릴레오를 예약구매 할때만 해도 윈도우를 올릴 수 있을 줄 알았다. 허나 그건 착각이었다. 인텔은 공식적으로 리눅스만 지원하고 있다. 물론 물리적으로 불가능 한건 아니지만 일단 갈릴레오는 라즈베리파이와 달리 그래픽 처리를 할 수 있는 포트는 물론 장치도 없다. 따라서 상당히 험난한 길이 예고가 된다.

어쨌건 이 조그만한 보드에 나는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를 올려 보았다. 데비안을 고집하는 이유는 익숙함. 그리고 말할 것도 없이 apt-get의 강력함이다.

자세한 설치 방법을 올리고 싶지만 그러기엔 내용도 너무 길고 따라하기에 크게 어렵지 않은듯 하여 링크로 대체한다. 이 페이지에 나온 명령어만 쭉 따라가면 충분히 설치할 수 있다. (오타만 내지 않는다면…)

위 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이렇게 설치한 리눅스에는 약간의 문제들이 있는데, apt-get으로 설치하게 되는 일부 모듈들이 정상적인 i386버전의 빌드가 아니다. 따라서 알수없는 예외들이 발생하곤 한다. 대표적으로 ssh와 git같은 경우에 그러한데,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위 링크에서는 특정 버전의 ssh와 git을 설치함으로서 피해가고 있다.

아무튼 나는 그렇게 설치한 리눅스 위에 nginx와 Python Django를 돌려보았다.

code.devgrapher.com

이전에 아파치 + 워드프레스 조합으로 돌려본 적이 있는데, 이 조합에서는 워드프레스와 php의 무게를 이 작은 쿼크 프로세서는 감당하질 못했다. 헌데 이렇게 간단한 웹페이지 정도는 별다른 무리가 없는 모습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웹페이지 용도로 쓰기엔 다소 아쉬운 성능이다.

다만 한가지… 원래 갈릴레오가 가지고 있던 아두이노 기능을 잘 활용한다면 무언가 나올 수도 있지 않을까..?

여기서 안좋은 소식은 위의 방법대로 데비안 리눅스를 깔고 나면 아두이노 스케치는 더이상 돌아가지 않는 것 같다.(이부분은 해결할 수 있을지 좀더 확인이 필요하다.)

다만 대안으로 GPIO를 이용해 아두이노의 디지털 포트들을 활용해 볼 수는 있는 것 같다.(하지만 아직 테스트해보지 못했다.)

만약 그게 된다면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파이썬으로 갈릴레오 포트를 제어할 수 있을 듯 하다.

근데…. 시간이 너무 없다.
언제 해볼 수 있을지.

갈릴레오에 리눅스를 올리자”의 2개의 생각

  1. 접속 방법을 좀 알고 싶은데요. 데비안 리눅스를 sd카드에 설치하는것 까지는 했는데요. 그것을 어떻게 컴퓨터와 연결시키는 지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였습니다.
    현재 AP기기를 붙여놔서 갈릴레오와 개발 PC를 무선으로 연결을 시도하고 있구요.
    도와주세요.

    1. https://communities.intel.com/thread/46335
      여기를 참고하시면 방법이 여럿 나와있습니다.
      제 경우는 유선랜을 연결하여 ssh로 붙었고요.. 무선으로 연결하신다면 갈릴레오에 무선랜카드를 달으셨나보네요? 저는 그 방법은 안해봤지만 역시 위 링크에 설명이 되어있는거 같네요.

장기린 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