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아두이노 관련 세미나를 다녀온 계기로 다시 아두이노를 잡아본다.
그 첫번째로 LCD 연결하기.
현재 아두이노 UNO에 모드킷을 연결해둔 상태인데, 모드킷의 특징은 보드위에 16*2짜리 LCD를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따라서 지저분하지 않게 깔끔하게 연결이 가능해야 하는데…
언제나 그렇듯 뭔가 잘 안된다.
이런 문제로 지난번에 화분 습도측정기를 만들때는 아래와 같이 브레드보드를 이용해 선을 하나씩 다 연결해줘야만 했다.
다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려고 보니 저런 상태로는 도저히 번거로워서 못쓰겠고, 원래의 기능대로 깔끔하게 연결하고 싶었다. 그래서 다시 모드킷의 LCD장착 공간을 활용하기로 했는데… 여전히 화면에 아무것도 들어오지 않는다.
한 가지 의심가는건 LCD를 연결할때의 포인트는 중간에 가변저항을 연결해야 한다는 점이다.
모터킷이 기본적으로 LCD 장착공간을 지원하는 것도 그렇고 스펙 문서를 봐도 모터킷에 이미 저항이 달려있는게 맞는거 같은데 왠일인지 잘 작동하지 않는거 같다. 아마도 액정간의 호환성 문제일까?
아무튼 가변저항에 강력한 의심을 가지고 이렇게 저렇게 삽질을 거듭한 결과 아래와 같이 가변저항만 따로 연결 해주는데 성공
훨씬 더 깔끔. 하지만 뭔가 더 없어보이는건 함정.
대충 삽질을 통해 배운바론 가변저항은 5V, A0, GND 세개의 핀이 있는데 A0가 다이얼을 돌린 만큼의 전압이 출력되는 핀인거 같다. 따라서 그 핀만 LCD의 V0에 연결해 주자 화면이 잘 나왔다. 실제로 LCD의 전원을 입력받는 Vss핀은 연결안해도 잘 나오더라. 가변저항으로 부터 적절한 전압을 공급받아야 적절한 밝기로 화면이 출력되는거 같다.
LCD 연결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조하시길.